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웨슬리의 이신론 이해 (또하나)
    18세기 /18세기 자료 2021. 4. 21. 09:13

    이신론(Deism/)은 어렵다. 다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1. 표준국어대사전: 17~18세기 유럽의 계몽주의 시대에 나타난 합리적인 종교관. 신의 존재와 진리의 근거를 인간 이성이 인식할  있는 자연적인 것에서 구하는 이론으로, 신을 세계의 창조자로 인정하지만 세상일에 관여하거나 계시나 기적으로 자기를 나타내는 인격적 주재자로서의 신을 부정하였다.

    2.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성서를 비판적으로 연구하고 계시() 기적 등을 부정하여 그리스도교의 신앙 내용을 이성적인 진리에 한정시킨 합리주의적인 종교관.

    하지만, 국어사전의 설명은 더 많은 혼란을 가져온다. "합리적" 또는 "합리주의적"이라는 말도 시기에 따라 뜻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신론"은 그만큼 다양하다. 과격하지 않는 사람들은 이신론을 "이성의 능력으로 하나님을 설명하려는 노력"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과격한 사람들은 표준국어대사전처럼 인격적 주재자로서의 신을 부정하기도 하였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처럼 이성적인 진리에 한정하기도 하였다. 디모데 홀거슨의 논문을 참고하면, 더 다양한 이신론의 모습을 살펴 볼 수도 있다.(Timothy Wayne Holgerson, <The Wesleyan Enlightenment: Closing the gap between heart religion and reason in Eighteenth Century England> KANSAS STATE UNIVERSITY Manhattan, Kansas, 2017)

    오늘은 간단하게, 지난 2016년 서울신학대학교 14회 카우만 기념강좌 자료집을 찾아 보았다. 하워드 스나이더의 발표였다. 

    This balancing of doctrine and experience shows itself also in Wesley’s dual stress on reason and experience. At the high tide of Deism, Wesley stressed that faith was rational and reason was its handmaid. Even when criticized as a mad enthusiast, Wesley still insisted on the conscious sense of God in the soul and on the inner witness of the Spirit. (Howard A. Snyder, "The Wesleyan Synthesis Reconsidered", in <14회 카우만 기념강좌 자료집>,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p6)
    (기독교 전통의) 교리와 (인간의) 경험 사이에서 (웨슬리가 보여 주는) 이러한 균형은, 웨슬리가 (인간의) 이성과 (인간의) 경험을 둘다 똑같이 강조하는 자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신론(Deism/理神論)이 엄청나게 몰아치던 바로 그 때에, 웨슬리는 *믿음은 이성과 분리할 수 없고, 이성은 믿음의 하인이라고 강조했다. 심지어 열광주의에 미쳤다는 비판을 받을 때에도, 여전히 웨슬리는 우리 영혼 속에서 하나님을 생각하는 감각(이성)이 깨어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동시에 **성령의 내적 증거를 함께 강조하였다.

    *믿음은 이성과 분리할 수 없고, 이성은 믿음의 하인이다; faith was rational and reason was its handmaid; 하워드가 인용한 이 말이, 정확한 웨슬리의 말인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일기에도 없고 설교에도 없다. 하지만, 웨슬리는 "reason cannot produce faith. Although it is always consistent with reason, yet reason cannot produce faith"(이성은 믿음을 이끌어 낼 수는 없다. 믿음은 항상 이성과 함께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성은 믿음을 이끌어 낼 수 없다.) 하고 설교하기는 했다. 하워드 스나이더가 어떤 자료를 가지고 이 말이 웨슬리의 말이라고 인용하였는지 궁금하다. 분명한 것은 이것이다. 웨슬리의 "사변형 신학(성경, 전통, 경험, 이성)"에는 "이성"이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특히, 균형잃은 이신론을 웨슬리가 거부하였다는 것이다.  

    **성령의 내적 증거; inner witness of the Spirit; 이신론과 함께 좀더 자료를 찾아 확인해야 할 주제이다.

    '18세기 > 18세기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세기 영국생활] 일년 생활비  (0) 2021.05.29
    18세기 빨래하는 모습  (0) 2019.07.26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