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lyClub] 홀리클럽의 목표소그룹/홀리클럽 2021. 6. 7. 17:14
I cannot forbear mentioning one instance more of the goodness of God to us in the present age. He has lifted up his standard in our islands, both against luxury, profaneness, and vice of every kind. He caused, near fifty years ago, as it were, a grain of mustard-seed to be sown near London; and it has now grown and put forth great branches, reaching from sea to sea. Two or three poor people met together, in order to help each other to be real Christians.
* The Wesley Center Online: Sermon 102 - Of Former Times. http://wesley.nnu.edu/john-wesley/the-sermons-of-john-wesley-1872-edition/sermon-102-of-former-times/. Accessed 7 June 2021.1729-1735년, 존 웨슬리는 찰스의 초대를 받아 모임을 이끌기 시작하였다. 1787년, 그는 설교에서 강력하게 그 때 이야기를 추억한다. "거의 50년 전"이었다고 했다. 두 세 명이 시작한 겨자씨같은 모임이라고 추억한다. 그 모임의 목적은 "진짜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도록 서로 돕는 것(to help each other to be real Christians)"이었다. [각주1]
케네스 콜린스는 <존 웨슬리의 신학>에서 이 부분을 인용하면서, 정확하게 "홀리클럽(Holy Club)"을 추억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Moreover, the following year, in his sermon "Of Former Times," Wesley revealed that the goal of 'the Holy Club" was above all to help each other be "real Christians."
* Collins, Kenneth J. John Wesley: A Theological Journey. Abingdon Press, 2003. p.243.[각주1] "진짜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도록 서로 돕는 것(to help each other to be real Christians)"
영어 동사 "be"를 "삶을 살도록"이라고 번역하였다. 여기에서 "be"는 존재 그 자체를 표현하는 단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살아있는 존재를 가장 잘 표현하는 단어가 무엇일까를 고민하다가, "삶을 산다"는 표현을 선택하였다.
그 때 그 모임의 목적은, 진짜 그리스도인이 되라고 서로 격려하고 돕는 것이었다고 생각했다. "be"가 "존재 그 자체를 표현한다"면, 그리스도인이라는 정체성을 있는 그대로 갖추고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인 "진짜 그리스도인"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