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심리학001] 사고경향성 Accident Proneness
    일상생활/온세상 2021. 6. 2. 08:39

    "사고경향성(Accident Proness)"라고 한다. 서툴르고 미숙해서 생긴 사고였을까? 아드리안 펀햄 교수는 두 가지 이론을 소개한다. 

    1. 개인의 능력에 초점을 맞춘 이론:

    사고는 부주의해서 일어난다. 또는, 초보자의 서툰 작업 능력때문에 일어날 수도 있다. 위험한 행동을 피하도록 사람을 훈련시키면 사고를 예방할 수도 있다. 이것은 개인의 능력에 초점을 맞춘 이론이다. 사회 심리학과 연관해서 연구할 수 있다. 

    2. 사회 시스템에 초점을 맞춘 이론:

    사고는 안전하지 않은 작업환경에서 일어난다. 작업환경을 안전하게 설계하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것은 인지 심리학과 연관해서 연구할 수 있다. 

    ac(to ~에, ~에게로) + cident(fall 넘어지다) = accident 사고
    proneness (기울어지는) 경향성

    * 참고: Furnham, Adrian. Psychology 101: The 101 Ideas Concepts & Theories That Have Shaped Our World. Bloomsbury Business, 2020. p.5-8.

    로버트 & 조이스: 6가지 안전행동 기준점
    1. 반항-따름(Defiant-Compliant); 어떤 사람은 규칙을 쉽게 무시하는 경향이 있고, 어떤 사람은 규칙을 쉽게 따르는 경향이 있다. 
    2. 약함-강함(Panicky-Strong); 어떤 사람은 스트레스 때문에 공황에 빠지기도 한다. 어떤 사람은 스트레스를 잘 조절한다. 
    3. 짜증-명랑(Irritable-Cheerful); 어떤 사람은 쉽게 기분이 바뀌거나 짜증이 나고, 어떤 사람은 감정을 잘 조절하고 즐겁게 일한다. 
    4. 산만-집중(Distractible-Vigilant); 어떤 사람은 금방 산만해진다. 어떤 사람은 집중력을 잃지 않고 위험요소를 피하면서 일한다. 
    5. 부주의-조심(Reckless-Cautious); 어떤 사람은 불필요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문제삼지 않고, 어떤 사람은 위험한 행동은 아예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6. 오만 또는 자만-훈련받는 자세(Arrogant-Trainable); 어떤 사람은 훈련받는 것을 무시하고 보고사항을 누락한다. 어떤 사람은 훈련에 집중해서 임한다.

    * Hogan, J. & Hogan, R. <The Safety Report> Tulsa, OK: Horgan Assessment Systems, 1999. 재인용, Furnham, Adrian. <Psychology 101: The 101 Ideas Concepts & Theories That Have Shaped Our World> Bloomsbury Business, 2020. p.8.
    (번역에 사용한 용어는 일반용어이다. 심리학 전문용어를 사용하면, 전공자에게는 이해가 쉽겠지만, 심리학 전문용어를 알지 못해서 영어를 괄호 안에 두었다. 원문을 쉽게 고치고 편역하였다. 심리학을 통해서 인간 행동을 이해하려는 아마추어 독서이다. 전문적인 이해는 원문을 참고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정환) 

    댓글

Designed by Tistory.